안녕하세요, 여러분 !
4월부터 시작하게 된 CCC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드리고
최근 6월 15일(토)에 한국기후환경원에서 진행했던 학술대회를 소개하려 합니다.
저는 환경 관련 학과도 아니고, 환경 직무를 선택하려는 것도 아니지만
비전문가인 제가 봐도 점점 기후변화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
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는 것이 몸소 느껴졌습니다 !
이러한 관심을 가지고 한국기후환경원에서 주관하는
CCC 프로젝트에 신청하게 되었습니다.
![]()
우선 CCC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드리자면
Campus for Climate Change의 약자로
아마도 되게 낯설게 느껴지실 텐데요..!!
주변 친구들에게 얘기하면
그.. 기독교 뭉시기망시기 대외활동으로 착각하는 친구들이 많더라구요
그 래 서 !!
1기 활동을 하고 있는 有경험자로써
CCC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게 된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
앞으로 활동에 대해 정보를 공유해드리려 합니다.
포스터에 있는 QR코드로 지원서를 작성해서 지원했었구
이후 비대면 면접을 거쳐 최종적으로 CCC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!
CCC 1기 출범식 (4월 22일)
약 한 달에 1번씩 오프라인 활동을 하고 있구요
앞서 1회차, 2회차 때에는 여러 교수님, 강사님들께
기후변화와 탄소중립, 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.
이번 3회차 활동 때에는 <한국기후환경원> 상반기 공동 학술대회에 참여했는데요
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듣고 많은 전문가분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!!
6월 15일 장소는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진행되었구요 !
자세한 일정은 위의 일정표와 같았습니다.
저는 플랜트 설계 직무를 희망하다 보니
앞으로 점점 많은 EPC 건설사들이 수주를 맡게 될
수소 산업 & CCUS쪽에 더 관심이 가게 되었습니다 !!
그래서 <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와 수소 산업> 과 <한국 CCUS 현재와 미래>
이 두 가지 강연을 특히 인상 깊게 듣게 되었고
아래에 강연 내용을 조금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
<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와 수소 산업>
위의 자료를 보시면 1850년대 ~ 현재까지 평균 기온 상승을 나타내고 있는데요
• 1950년대 이후로는 평균 기온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
• 1980년대 이후로 빨간색 막대의 빈도가 증가하고, 기온 상승의 폭도 커졌습니다.
• 최근 몇 년 동안은 특히 급격한 기온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21세기 들어 기온 상승 폭이 크게 증가한 것은
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.
수소의 필요성
수소는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.
특히 탈탄소화가 어려운 산업 부문에서 필수적입니다.
따라서 많은 주요 국가들이 수소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.
![]()
• 현재 수소 생산 (그레이 수소): 매년 9천만 톤의 수소가 생산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1,80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합니다. 주로 정유공장에서 석유 처리 / 메탄올 생산 / 암모니아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여기서 수소 산업에 관심을 가지시다 보면 그레이수소/ 블루수소/ 그린수소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되실텐데요 ! 간략하게 설명해드리자면
그린수소 (Green Hydrogen)
개념 : 전기분해를 통해 생산된 수소를 말합니다. 주로 재생 가능 에너지원인 태양광, 풍력 등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해하여 수소를 생산합니다.
특징
• 탄소 배출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친환경적입니다.
• 전기가 재생 가능 에너지로부터 공급되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높습니다.
• 현재 생산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지만, 장기적으로는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블루수소 (Blue Hydrogen)
개념 : 천연가스를 원료로 수소를 생산하되,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포집하거나 처리하여 감소시키는 기술을 적용한 수소입니다.
특징
• 온실가스 포집 및 저장 기술(CCS, Carbon Capture and Storage)을 이용하여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므로, 기존의 수소 생산 방식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적습니다.
• 원료로 천연가스를 사용하므로 에너지 자원 의존도가 높습니다.
•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비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
그레이수소 (Grey Hydrogen)
개념 : 그레이수소는 주로 천연가스 스팀 개질 공정에서 생산되는 수소로, 탄소 배출이 높은 수소입니다. CCS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, 공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이 대기 중에 방출됩니다.
특징
• 천연가스 개질 과정에서 CO2가 대량으로 발생하며, 이는 탄소 배출과 관련된 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.
• 생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지만, 환경적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.
•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 그레이수소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.
![]()
그린 수소 프로젝트 예시
• 오만 프로젝트: 2027년 착공, 2030년 준공 목표. 5GW 규모의 재생 발전과 2GW 규모의 수전해 설비를 통해 연간 22만 톤의 그린 수소를 생산하고, 120만 톤의 청정 암모니아를 생산할 예정입니다.
• 참여기관: 포스코홀딩스, 삼성엔지니어링, 한국남부발전, 한국동서발전, ENGIE(프), PTTEP(태국) 등.
출처 - 국제재생에너지기구(IRENA)
그린수소 생산에서는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가 필요합니다.
그린수소는 주로 물을 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수소 전해로 공정을 통해 생산됩니다.
이 과정에서 전기분해 장치가 사용되며, 이는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.
앞으로의 그린수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
많은 양의 재생 가능한 전기 에너지 인프라가 필요하며,
이는 현재 기술적, 경제적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.
결론
수소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다양한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큽니다. 특히 그린 수소의 생산과 활용은 환경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. 현재 인프라와 수소 가격이 수소 경제 실현의 주요 장애물이며, 수소 산업의발전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과 가격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!
<한국 CCUS 현재와 미래>
![]()
![]()
우선 다들 CCUS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!
저도 막연히 들어보기만 하고 CCU와 CCS의 정확한 차이는 몰랐었는데
이번 강연을 통해 개념을 확실히 짚고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.
• CCU (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)
개념 : CCU는 탄소 포집 및 활용을 의미합니다. 탄소 배출을 포착하고, 그 탄소를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활용하는 기술입니다.
특징 : 탄소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며, 환경적 이점을 추구하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, 탄소를 화학물질 생산에 사용하거나, 물고기 양식에서 CO2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.
• CCS (Carbon Capture and Storage)
개념 : CCS는 탄소 포집 및 저장을 의미합니다. 이는 온실가스를 발생하는 산업 공정에서 발생한 CO2를 포집하여 지하 저장소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입니다.
특징 :주로 화석 연료 발전소나 산업 공정에서 사용되며, 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. 그러나 탄소의 완전한 제거가 아니므로 CO2의 장기적 보관이 필요합니다.
• CCUS (Carbon Capture, Utilization, and Storage)
개념 : CCUS는 탄소 포집, 활용 및 저장을 통합한 접근 방식입니다. 이는 탄소 배출을 포착하고,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한 후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을 포함합니다.
특징 :CCU와 CCS의 결합으로, 탄소를 자원으로 활용하면서도 동시에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보관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. 환경적 이점과 경제적 가치 창출을 모두 추구합니다.
포집기술은 회수하는 공정과 포집 시기에 따라
연소 전 / 연소 후 / 순산소 연소방식으로 나뉘며
또 기술 방식에 따라
습식 / 건식 / 분리막 방법으로 구분됩니다.
저장기술은
[포집] - [수송] - [저장소 선정] - [CCS 설계] - [시설] - [주입] - [모니터링] 단계로 이루어지며, 주입 단계에서는 효율적인 저장을 위해 초임계 유체 상태로 주입하여 저장한다고 합니다 !!
<단계별 저장소 평가 방법론>
1단계 퇴적분지 규모 평가
2단계 잠재지층 규모 평가
3단계 유망구조 규모 평가
4단계 사업부지 규모 평가
<국내 저장소 확보 현황>
국내 저장소 확보 현황으로는
현재 약 7.3억 톤 규모로 평가되고 있으며 (3단계 유망구조 평가 결과)
이는 연간 약 3,100만 톤을 저장 가능한 양이라고 합니다.
<CCS 기술의 안정성 및 환경성>
CCS 사업으로 인해 지진이 유발된다는 견해도 존재하는데요
이는 초기에 고압 주입으로 발생했던 사례이고
현재는 압력조절기술을 적용하여
CO2 주입으로 인한 유발지진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!!
또한,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진으로 인해
저장된 CO2의 누출 가능성은 높지 않은 수준이라고 합니다.
결론
온실가스 감축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CCUS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특히, 기술 추진계획과 함께 안전성 및 환경성에 대한 검토 내용이 설명되었고, 이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. 미래에는 CCUS 기술이 보다 널리 확산되어 탄소 중립 사회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!
유익한 강의들을 오후 동안 듣고
이후 저희는 세종대학교 내에 있는 뷔페로 이동하여
![]()
![]()
에코나우 하지원 대표님의
<우리는 진짜일까? : Change Together, Eco Now!>기조강연을 듣고
한국기후환경원 소개 및 원우회 행사를 진행했습니다.
이 자리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전문가분들이 속해 계셨고
전공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
많은 사람들이 환경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!!
![]()
그리고 와구와구 만찬(?)을 즐겼습니다~!~!
![]()
더티 플레이팅
이번 한국기후환경원 공동 학술대회 참여를 통해
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탄소중립 정책의 중요성과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들의 현재 상황 및 미래 방향성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.
학술대회에 참여해 주신 많은 전문가분들처럼
저 역시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키워가고
미래의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여를 목표로 하게 되었습니다 !!
